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건강관련 끄적끄적

운동은 멘탈의 버팀목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by Bodymover 2023. 11. 2.
728x90
반응형

운동은 멘탈의 버팀목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안녕하세요.

 

척추안정화연구소 통합체형과정(PIT)과 기능적움직임패턴(FST)강사이자 

Bodymove운동센터 대표 마혁빈입니다.

 

 

오늘은 우리몸에 도움이되는 운동효과와 연관된 뇌의 반응에 대하여 언급해보려고합니다.

 

우리가 일상환경속에서 접하고 경험하는 누적된 만성스트레스는

 

우리몸의 스트레스 통제 스위치를 망가뜨리는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수있습니다.

 

 

 

그 결과 몸은 스트레스 저항성이 떨어지고 스위치가 고장난 탓에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면역시스템을 저하시키는 코르티솔이 통제할수없을정도로 많이 퍼져나가

 

신체 면역력저하와 염증수치가 증가하여 몸과 마음이 손상되게 됩니다.

 

 

 

하지만 전혀 우리는 걱정할필요가 없습니다.

 

전혀 신체를 통제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에서도 다행인것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게되면

 

 

신체스트레스반응이 정상수준으로 돌아오고,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에 뇌가 반응하게 됨과

 

동시에 우리의 뇌에서는 마음에는  낙관적인 신체자신감과 회복력이 서서히 싹을 틔우게 됩니다

 

 

이는 운동이 뇌에 공급하는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Brain-Dereved Neurotrophic Factor)덕분입니다.

 

 

 

BDNF는 뇌의 비료와 같은 존재로 스트레스반응을 무마시키는

 

뇌세포를 비롯한 모든 뇌세포의 성장과 기능을 돕는역할을 합니다.

 

 

 

운동을 하면 뇌는 스트레스의 강력한 독성으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하는 BDNF로 흠뻑 젖게됩니다.

 

그덕분에 고장난 스트레스의 통제스위치는 다시정상으로 돌아갈수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막 운동이 끝났을때는 몸이 모든 스트레스요인을 차단하기에

 

자유롭고 평화로운 순간을 느낄수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없는 삶을 상상하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있는 우리에게 운동은 한줄기 빛인것입니다.

 

 

다만 운동으로 스트레스 통제스위치를 고칠때 조심해야할것이 하나있습니다.

 

반응형

 

운동을 너무심하게 하면 이미 스트레스로 과부하된 신체면역과

 

 

뇌 시스템에 되려 부담을 더한다는 사실입니다.

 

 

스트레스요인은 여러가지라도 우리몸의반응은 모두 똑같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몸은 강해지기는 커녕 약해질가능성이 큽니다.

 

 

만성스트레스를 경험하는사람들이 초기에 강도높은 운동을 했을때 회복하는데

 

더 오랜시간이 걸리는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과도한 심리적불안을 경험하는사람들이 약한불안을 경험하는 사람들에 비해

 

강도높은 운동의 헤택을 적게받는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그러므로 스트레스로인한 심리적인 불안감이 줄어들때까지는 잠시 과도한 

 

운동의 강도를 낮추어 점진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가벼운운동도 뇌를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데 필요한 BDNF를

 

충분히 선사하기 때문에 걱정하지않아도 됩니다.

 

 

 

뇌세포에 내려진 BDNF의 효과는 힘겨운 시기를 이겨내고 더 나은삶을 찾도록 도와줄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있는곳에서 시작하라.

                           갖고있는것을 활용하라.

                                                             할수있는것을 하라.

 

-아서애시 arthur ashe-

미국의 전설적인 테니스선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