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건강관련 끄적끄적

뚱뚱하면 허리가 아픈가?

by Bodymover 2024. 1. 8.
728x90
반응형

뚱뚱하면 허리가 아픈가? 비만(Obesity)과 요통의 관계

 

 

비만이 골반,척추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어 만성요통  발병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많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복부가 나온 과체중(Over Weight) 골반을 앞으로 밀어내고,

 

그로 인해 허리에 압박과 전단력을 만들어 허리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체 역학만으로는 사람마다 크게 다를 있고 심지어 비슷한 연령,

 

체형 신체통증경험을 가진 사람들조차도 크게 다를 있는 상태를 단지 과체중이라는

 

이유만으로 너무 간단하게 설명할수 았기에는 인과관계가 적절하지않다고 하는사람들도있습니다.

 

 

비만을 원인으로 지지하는 연구

 

통계적 관점에서만 , 체중과 허리 통증 사이에는 강력하고 거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010 미국 역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발표된 리뷰에서는 95건의 수준 높은 연구 데이터를 평가한 결과 요통의 위험이 체질량 지수(BMI)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1

 

 

연구에 따르면, 정상 체중의 사람들은 요통의 위험이 가장 낮았고, 과체중인 사람들은 중간 정도의 위험을

 

가졌으며, 비만인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위험을 가졌고 또한 과체중과 비만인 사람들이

 

허리통증을 완화를 위한 의학적 치료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일본 도쿄대학 병원의 2017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론이 나왔습니다.2 

 

1986년부터 2009년까지 남성 1,152명의 병력을 검토한 결과, 연구진은 체지방률을 합친 BMI

 

허리 질환의 위험과 비율 모두에 직접적으로 해당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연구가들은 비만은 디스크 주변의 지방조직이 증가될수있다고 언급하고있습니다.4 

 

지방조직의 증가는 체중이 증가 되는것만큼이나 허리 문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신진대사의 변화를 유발할 있습니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분명히 비만과 허리통증은 연관성이 존재하지만,

신체 역학 외에 기여하는 다른 요인도 있을 있다는 것입니다.

 

 

체중이 허리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 복잡한 요인일 수도 있습니다.

 

2015 Medical Archives Obesity 발표된 연구는 비슷한 직종에 종사하는 남성 101명의

병력을 검토한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5

 

연구팀은 비만이 허리 통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기저 질환(추간판 탈출증, 인대 경화, 척추 관절염 ) 촉진하거나 악화시킨다고 판단했습니다.

 

생체 역학에 관한한, 비만은 체중의 비정상적인 재분배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미 존재하는 퇴행성마모를 가중시킬수 있습니다.6

 

 

비만이 허리 통증의 원인이든 기여자이든, 과체중이 허리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몸을 지지하고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인 등은 중립 자세에서 가장 효과적인 정상적인

척추 곡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이 비만일 허리부분에 체중이 증가하면 골반이 앞으로 이동하고 척추가 과도하게 휘어집니다.7 

 

우리는 이것을 전만증(Hyperlordosis) 또는 스웨이백(swayback)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자세체형의 변형은 체중을 견뎌야 하는 허리등부위 척추 근육과 관절에 비정상적인

압박과 스트레스를 가하고있는 상태입니다.8

 

허리의 전만을 억제하기위한 하복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고안된 운동은 이러한 효과를 상쇄하고

 

골반을 중립 위치로 되돌리는 도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체중 감량이  척추의 부담을 완화하는 열쇠라는 것입니다.

 

 

비만은 또한 다른 일반적인 허리 질환을 악화시킬 있습니다.  

  • 추간판 탈출증 사람들이 치료를 받는 가장 흔한 척추 부상 하나입니다.
  • 과체중 또는 비만인 경우 신체 역학이 질환의 발병과 지속 기간 모두에 중요한 역할을 수있습니다.9  
  •  
  • 증상으로는좌골신경통  /또는 요추 신경근 통증(요추 신경이 눌리는 것과 관련된 통증) 있습니다.
  • 또한 비만인 사람은 정상 체중의 사람에 비해 탈출증 치료 수술 결과가 약간 나빠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척추골관절염은 비만에 의해 악화되고 가속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0
  •  
  • 과체중은 관절 정렬 불량으로 이어질 있지만, 몸통의 지방 조직은 손상 부위와 주변에 지속적이고 국소적인 염증을 일으켜 척추의 퇴행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있다고 굳게 믿어집니다.

 

 

과체중 또는 비만인 경우  체중이 등과 척추에 과도한 압박과 스트레스를 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유일한 원인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허리 통증이나 장애를 겪고 있다면 근본적인 원인, 기여 요인 적절한 치료 과정을 결정하기 위해

 

체중의 10% 감량해도 좋은 결과를 얻을 있으며 많은 허리통증과 연관된 증상을 줄일수 있을것입니다.

 

 

Reference)

 

  1. Shiri R, Karppinen J, Leino-arjas P, Solovieva S, Viikari-juntura E.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low back pain: a meta-analysis. Am J Epidemiol.
  2. Hashimoto Y, Matsudaira K, Sawada SS, et al. Obesity and low back pain: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Japanese malesJ Phys Ther Sci. 2017;29(6):978–983. doi:10.1589/jpts.29.978
  3. Sheng B, Feng C, Zhang D, Spitler H, Shi L.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nd Spinal Diseases: A Medical Expenditure Panel Study Analysis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7;14(2):183. Published 2017 Feb 13. doi:10.3390/ijerph14020183
  4. Rosen ED, Spiegelman BM. What we talk about when we talk about fatCell. 2014;156(1-2):20–44. doi:10.1016/j.cell.2013.12.012
  5. Ibrahimi-kaçuri D, Murtezani A, Rrecaj S, Martinaj M, Haxhiu B. Low back pain and obesity. Med Arch.
  6. Kyrou I, Randeva HS, Tsigos C, et al. Clinical Problems Caused by Obesity. In: Feingold KR, Anawalt B, Boyce A, et al., editors. Endotext [Internet]. South Dartmouth (MA): MDText.com, Inc.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78973/
  7. Vismara L, Menegoni F, Zaina F, Galli M, Negrini S, Capodaglio P. Effect of obesity and low back pain on spinal mobility: a cross sectional study in womenJ Neuroeng Rehabil. 2010;7:3. Published 2010 Jan 18. doi:10.1186/1743-0003-7-3
  8. Vismara L, Menegoni F, Zaina F, Galli M, Negrini S, Capodaglio P. Effect of obesity and low back pain on spinal mobility: a cross sectional study in women. J Neuroeng Rehabil.
  9. Samartzis D, Karppinen J, Cheung JP, Lotz J. Disk degeneration and low back pain: are they fat-related conditions?Global Spine J. 2013;3(3):133–144. doi:10.1055/s-0033-1350054
  10. King LK, March L, Anandacoomarasamy A. Obesity & osteoarthritisIndian J Med Re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