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기능해부학 끄적끄적

복부안정화와 보행활동과의 연관성(With Low Back Pain)

by Bodymover 2023. 6. 30.
728x90
반응형

복부안정화와 보행활동과의 연관성(With Low Back Pain)

 

 

 

안녕하세요.

 

척추안정화 연구소 통합체형전문가 과정(PIT)과 기능적 움직임 패턴(FST)강사이자

 

Bodymove운동센터 대표 마혁빈입니다.

 

 

선생님들께서 병원이나 운동센터에 내원하시는 환자나 고객분들중에

 

‘출퇴근시에 허리가 아파요‘ 또는 ‘걸어다니거나 마트에 잠깐 장만보러 다녀도 허리에 통증이 아파요‘

 

하시는 분들을 쉽게 만나실수있으실겁니다.

 

 

이러한 보행시에 통증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복대를 착용하시거나 또는

 

아랫배에 힘이 안들어온다란  얘기를 심심치않게 들으실수 있을겁니다.

 

 

 

오늘은 조금만 걸어도 허리가 아프거나 통증이 유발되서 보행(Walking)이라는

 

기능적인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으신분들에 대한 기능적안정화검사(Functional Core Screen Test)와

 

운동접근(Exercise Approach)에 대해서 언급해 보고자 합니다.

 

 

신체를 이동(Transition)또는 보행(Walking)이라는 동작패턴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움직임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사람이 자연스러운 보행(Walking),즉 ’걷는다‘라는 행위의 전제조건은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는 신체의 이동능력을뜻합니다.

 

 

물건을 들어서 옮기는동작 또는 신체무게중심의 이동 또는 자연스러운

 

보행시에 발생하는 고관절의 움직임이 하나의 예가될 수가 있는데요.

 

기능운동학적 움직임 관점으로 본다면 이동(Transition)과 보행(Walking)동작은

 

필수적인 고관절 굴곡과 신전 동작이 이루어 져야합니다.

 

 

한다리에서 다른 한다리로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는 능력은 신체에 가해지는 체중부하를

 

골격구조인 척추와 골반으로 전달시키며 안정성을 최대한 얼마나잘 유지하면서

 

골반과 고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체중을 이동시킬수있는가라는 명확한 전제조건이 성립되어야만

 

효율적인 이동(Transition)또는, 보행(Walking)이라는 동작수행을 할 수가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신체의 이동(Transition)과 보행(Walking)시에 발생하는

 

역동적인 고관절 굴곡동작을 위해서는 고관절 굴곡근(밝은구역)이 활성화 되기 전에

 

몸통안정근 (어두운 구역-횡격막, 골반기저, 복벽, 기립근)들의

 

통합적인 안정화 기능이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이러한 안정근들의 활동은 자동적이며 무의식적 (피드 포워드기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모든 의도한 동작들 보다 선행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관절의 움직임(SLR)시에 관련된

 

자세안정화에 관한 논문하나를 언급해 보고자 합니다.

 

 

네덜란드의 물리치료사인 Andry Vleeming선생님의 연구논문에서는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지면에서 20cm를 들어 올리는 SLR(Straight Leg Raise)동작을 5초정도 수행시 스스로 다리를

 

드는 동작수행이 어려울 경우 요골반 불안정성을 지적하였으며 또다른 연구에서는이러한 허리

 

골반부 주변의 안정성이 부족한경우에 흉부,하부요추,골반을 안정화시키는 근육의 적절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라고 언급하고있습니다.(Richardson et.1999.Lee 2004)

 

 

국내에서는 골반거들(Pelvic Girdle)이란 서적으로 잘알려진 다이안 리(Diane Lee)

 

선생님께서는 양쪽 골반대를 잡고 압박(Compression)또는 압박의 위치를변경할 때

 

골반 통증과 불안정성이 더 줄어든다면 요골반의 운동조절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을 적용할 때 임상의에게 도움이될수있는 정보를 얻을수있다라고 언급하고있습니다.

 

또다른 연구논문에서는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시(ASLR) (Mensetal 2001, 2002)은

 

트렁크와 하퇴부 사이의 효과적인 부하의 전달을 측정하기 위한 임상 시험으로 검증될수 있다라고

 

언급하고있습니다.

 

 

요골반 부위가 기능적으로 잘 안정화되는 경우, 다리는 테이블에서 쉽게 상승해야 하며

 

 골반은 흉부 및/또는 하지를 기준으로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라고 애기합니다.

 

 

국내에 척추재활치료학이란 서적으로 널리알려진 크레이그 리벤슨선생님(Craig Liebenson)과

 

Lowback Pain Disorder와 허리치료와 역학이라는 서적으로 널리 알려진 스튜어트 맥길

 

(Stuart Mcgill.2009)교수님이 연구한결과에 의하면 '체간의 안정화근육의 활성화를

 

만들어줄 수 있는 Abdominal Bracing의 호흡을 기반으로한 복부활성화운동을

 

SLR(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의 동작수행시에 동시에 적용하게 된다면

 

Abdominal Bracing이 없이 ASLR동작만 할때보다

 

허리의 축회전이(Axial Lumbar Rotation)감소된다'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적인 부분과 연구결과들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상당히 큽니다.

 

 

우리가 신체의 무게중심의 이동(Transition) 또는 보행(Walking)이라는 움직임을 수행할 때

 

고관절의 활동이 상당히 중요한데아래 ASLR(Active Straight Leg Raise)시 즉 보행(Walking)

 

고관절의 굴곡동작때 위에서 언급한 복부와요추골반의 Abdominal Bracing을 동시에 수행한

 

그룹에서 허리주변의 경직,또는 견고함(Rotational Lumbar Sitiffness)을 잘 만들어낼수있다

 

라고 언급하고있습니다.

 

체중이동이나보행시에 발생하는 고관절의 움직임동안에 복부의 안정화(Abdominal Bracing)

능력의 결여는 척추의 회전부하와 스트레스를 증가시킬수 있어서 요통의 위험요소중 하나라고

 

추측할 수가 있는 객관적인 근거가 될수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요통에서 신체의 조절능력의 부족은 심부체간근육의 형태적으로나,

능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옵니다.

 

 

반응형

 

대표적인 예로 건강한 사람은 팔과 다리의 움직임에 앞서서 선행적인 자세조절로

심부근육인 복횡근이 먼저 작용을 합니다.(hodge 98)

 

반면에 요통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는 복횡근의 선행적인 자세조절이 일어나지 않거나

 

수축반응 속도가 느리다 라는 많은 연구결과들을 애기하고 있습니다(Hodge.98).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언급한 일련의 선행적인 자세안정화를(Feed Forward) 통한

요골반안정성을 먼저 확보해주지 못하고,자세 유지를 위한 심부근육의 활성화근육의

 

수축 지연과반응 속도를 억제시켜서 고관절의 움직임시에 발생할 수 있는

 

요추의 축회전(Lumbar Axial Rotation)을 가속화시켜 걸을때마다

 

허리의 회전부하에 따른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허리통증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체중이동이나보행시에 발생하는 고관절의 움직임동안에 복부의 안정화(Abdominal Bracing)

 

능력의 결여는 선행적인 자세안정화의복부근육의 척추안정성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척추의 회전부하와 압박스트레스를 증가시킬수 있어서 요통의 위험요소중 하나라고

 

추측할 수가 있습니다.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죄가 아니라 통증을 방치하고 노력안하는 것은

본인의 몸에 대한 죄가 될수있을것입니다.

 

 

우리가 진행하는 모든 운동치료적인 접근개념에서 고객이나환자분들이

신체의 이동(Transition)또는 보행(Walking)시에 통증을 호소한다면

 

통증없는 움직임을 위한 복부골반의 안정화운동이 먼저 선행되어져야 할것입니다.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The supin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ASLR)(Mensetal2001,2002)has been valid at ed as a clinical test for measuring effective load transfer between the trunk and lower limbs.When the lumbopelvic‐hip region is functioning optimally,the leg should rise effortlessly from the table(effort can be graded from0 5)and the pelvis should not move(flex,extend,laterally bendor rotate)relative to the thorax and/or lower extremity.

 

This requires proper activati on ofthe muscles(both in the local and global systems)which stabilize the thorax,low back and pelvis.Several compensation strategies have been noted(Richardsonetal 1999,Lee2004,Lee&Lee2004)when stabilization of the lumbopelvic region is lacking.

 

The ASLR test can be used to identify these strategies.The application of compression to the pelvis has been shown(Mensetal1999)to reduce the effort necessary to lift the leg for patients with pelvic pain and instability.It is proposed(Lee2004)that by varying the location of this compression during the ASLR,fur ther information can be gained which will assist the clinician when prescribing exercises to improve motor control and stability( Diane Lee.200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