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기능해부학 끄적끄적

인간의 어깨는 왜아플까? 진화론적관점에서본 인간의어깨구조

by Bodymover 2024. 3. 28.
728x90
반응형

 

인간의 어깨가 쉽게 자주 아픈 이유?

반응형

 

안녕하세요.

 

척추안정화 연구소 통합체형전문가과정(PIT)와 기능적 재활움직임 전문가과정(FST)강사 마혁빈입니다.

 

오늘은 인간의 어깨가 쉽고 자주아프게되는 이유에 관해 한번얘기해보려고 합니다.

 

모든 근골격계문제가 그렇듯이원인과 결과가 일치하지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근골격환자의 비율중에 많은 고객이 차지하고 호소하는 어깨통증과 기능장애에 관하여

 

해부학적 진화론적 관점에서 한번 알아두면 좋을 내용으로 언급해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회전근개와 연관된 통증은 모든 어깨 통증증상의 약 65-70%를 차지할정도로

 

많이 영향을 받는 구조입니다.

 

 

2016년 영국의 물리치료사인 제레미루이스가 언급한 회전근개 관련 어깨 통증(RCRSP)Rotator Cuff Related

 

Shoulder Pain)은 다양한 어깨 질환을 포괄하는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전통적인 어깨충돌증후군이란 용어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회전근개 힘줄과 주변 윤활낭

 

(힘줄과 뼈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는 액체 주머니)을 포함한  어깨 견봉하 통증증후군, 회전근개 건병증 ,

 

증상이 있는 부분 및 완전 회전근개 파열 등으로 구분하고있는데  RCRSP 진단을 받은 사람들의 치료 목표 중

 

하나 는 통증증상 없는 어깨 움직임과 기능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728x90

 

 

특히 팔을 장시간 90도어깨 높이 이상으로 들어 올린 자세에서 지속적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통증과 장애에 대한 어깨 불만 수준이 더 높았다고 보고했습니다.

 

 

 

팔을 자주 어깨위로 올리는 사람에게 어깨통증과 손상의 위험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진화론적 관점으로

 

우리가 설명할수있는데요.

 

원숭이가 나무에 잘 매달리는 이유

 

 

해부학적으로 인간의견갑골과 원숭이의 견갑골을 비교해보면

 

견갑골과 상완관절이 맞닿는 부위인 글레노이드 소켓(Glenoid Socket)또는 관절와 (Fossa)의 형태가

 

원숭이의 글레노이드소켓은 더 수직적으로 위쪽을 향하여 마치  견갑골이 컵받침처럼 구성되어 팔을 들어도

 

상완관절이 안정되는  반면 인간의 글레노이드 소켓은 더 수평적으로 측면을 향하게 되어 상완관절의

 

받침점이 없이 견갑골과 상완관절이 결합하는 관절와의 낙차가 커서 불안정한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상 유인원과 침팬지의 팔을 머리 위로 올리는 오버헤드능력은

 

관절소켓이 팔을 올려도 받침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보다 훨씬 우수하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수평적으로 이루어져 낙차가 큰 어깨견봉과 소켓의 위치는

 

현대인들의 생활습관과 자세적인 구축으로 인해 견갑골의 견봉과 소켓의 위치를

 

 

더 중력방향으로 밑으로 앞으로 아래로 내려가게해서 축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키게 됩니다. 

 

특히 중력방향으로로 잡아당기는 굴곡근과 내회전근육인 Biceps와 Latissimus dorsi.Pectoralis M.등이

 

일상생활에서 장시간 반복적으로 과사용되거나 타이트해지면상완관절을 전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강하게 만들수있습니다.

 

 

이것은 팔을 머리위로 올릴때 작용하는 견갑골과 상완관절의 해부학적손상위험도,

 

운동역학의 변형을 만들어 회전근개 및 힘줄의 “과사용 및 반복손상"에 취약하여

 

부상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세적인 견갑대나 체간안정성,신체가동성등이 해결되지않고

 

많은 양의 반복적인 오버헤드 동작을 하게되면 어깨통증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인간이 팔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회전근개근육의 정상적인 기능을 통해 상완골두를 안정(Stability)시키고

 

견갑골이 협응적으로 운동을 해야 합니다.

회전근개를 구성하는  4개 근육의 힘줄은 견갑골의 볼-소켓 어깨 관절에 공통적으로 부착되어 있습니다.

 

극상근(supraspinatus), 견갑하근(subscapularis), 극하근(infraspinatus 및 소원근 teres minor)이라는

 

4개의 회전근개 근육은 운동자유도가 높은 어깨상완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모두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간의 해부학적 구조상 장기간의 머리 위 활동에 덜 적합하기 때문에 팔을 머리위로 올리기 위한

 

견갑골의운동역학이 중요하게 언급되는데 많은 근거논문에서도 회전근개 관련 어깨 통증이 있는 환자는

 

견갑골의 상방 회전 감소, 견갑골 후방 기울어짐 감소, 외회전 등 견갑골 운동학적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동역학적으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안 상완관절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하기위해

견갑골은 위쪽으로 상방회전하고 후방뒤쪽으로 기울어지며(Posterior Tilt) 바깥쪽으로 회전하게됩니다.

 

 이러한 견갑골 운동을 정상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상부,하부승모근,및 전거근을 포함한

 

견갑골 안정화근육의 정상적인 기능에 의존합니다.

 

 

통합체형전문가과정(PIT)와 기능적재활움직임 전문가 과정(FST)에서도 제시하는 평가와 솔루션처럼

 

우리가 임상적으로 더 좋은 트레이닝 효과를 보기위해서는 회전근개의 전통적인 고립적인운동또는

 

근력강화운동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체간의 안정성과 척추가동성의 증진,견갑골의 체중지지전략을

 

통한 안정화운동,회전근개의 고립적인 안정화 이후 일상적인 활동의 전위를 위한 스쿼트나 스텝을

 

적용하는기능적인 회전근개 트레이닝을 적용해야할 이유가 될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