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 근력(Strength) vs 안정화(Stability) 운동:안정화의 혼란(Contusion)
안녕하세요.
척추안정화 연구소 Bodymove운동센터 대표 마혁빈입니다.
오늘은 허리안정화운동으로 알려진 코어운동에 대해서 짧게 언급해보려고 합니다.
코어안정화의 혼란이란 주제로 언급해보려고 합니다.
코어 근력(Core Strength) vs 코어안정화(Core Stability)
코어 안정성, 근력 및 지구력은 힘 생성 및 부상 예방을 위한 척추의
안정성(Spine Stability)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능력입니다.
코어 안정성은 척추의 안정성을 말하며 힘 생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생체역학적 기능의 효율성을 결정합니다.
코어의 일반적인 기본 개요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 다음 코어 강도(Strength)와
코어 안정성(Stability)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어 근육 구조"는 일반적으로 기능적 움직임 동안 척추, 골반 및 운동 사슬을 안정화하기 위해
lumbo-pelvic-hip 복합체를 지지하는 29쌍의 근육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코어는 일반적으로 "파워하우스" 또는 모든 사지 운동의 기초로서
선행적인 자세안정화의 시작이라고도 합니다.
이 근육들은 선천적으로 불안정한 척추에 직접적인 지지능력과 복부 내 압력 증가를
제공하는 근육 수축을 통해 이동을 위한 이 기초를 만들기 위해 이론화되었습니다.
힘을 생산하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척추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몸통 근육은 충분한 힘, 지구력 및 모집 패턴을 가져야 합니다.
"힘"은 외적부하를 견거나 행사할수 있는 근육의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척추 안정성의 능동적인 제어는 주변 근육에서 이 힘의 조절을 통해 달성됩니다.
불안정이 있을 때는 정확한 척추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장애가 있거나, 다시 말해 척추를 안정시키기 위해 충분한 힘을 가하기 위한 근육 구조의 장애가 있습니다.
그래서, "안정성"은 관절의 전체 움직임 범위를 통제하는 신체의 능력을 의미하므로 큰 통증,
신경학적 결함, 또는 근육의 무력화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코어 근육의 목표는 신체가 이 안정성을 극대화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기능적 요구가 있을때 척추를 안정시키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고립되어지는 코어안정화운동 또는 국소적인 복부나 허리만을 부분적으로
강화시키는 운동방법은 코어로서의기능적요구에 부합하지않을 가능성이높습니다.
여러 기능적 움직임시에 나오게 되는 몸통의 이러한 안정성 및 운동학적 반응 수준은
척추의 기계적 안정성 수준과 신체에 힘이 가해지기 전에
몸통 근육의 반사 반응에 의해 결정됩니다.
팔다리 사지 운동은 반응력의 크기가 사지의 관성에 비례하는 척추에 운동력을
제공하는 반면, 근육작용 및 대칭적인 몸통 근육의 동시 활성화는
허리 척추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작용합니다.
코어 근육 구조에서 나오는 힘이나 힘이 너무 많으면 실제로는 방향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 더 큰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코어 안정화에 대한 운동접근은 코어에 대한 근력(Strength) 개념의 접근보다는
전체적인 안정화(Stbaility)의 개념으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이 코어 강도,
코어 지구력 및신경 근육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비중을 더 두어야 합니다.
코어운동의단계적 접근 1.
코어운동의단계적 접근 2.
코어운동의단계적 접근 3.
코어운동의단계적 접근 4.
코어운동의단계적 접근 5.
운동을 위해 시간을 내지않으면 병때문에 시간을 내야 하게될지 모른다.
-로빈샤르마(Robin Sharma)-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 > 운동트레이닝 관련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어 안정화를 위한 운동접근에 대한 고찰(Exercise Approach for Core Stabilization) (0) | 2023.07.14 |
---|---|
어깨 통증이 생길시에 하지에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을 하는것은 도움이 될까요? (0) | 2023.07.06 |
운동시 과제수행을 시켜라!! (0) | 2023.05.26 |
코어운동의 접근방식: 어떤 운동이 좋은가? (0) | 2023.05.09 |
동물처럼 움직여 보자!!네발자세(Quadruped Position)로 기어가기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