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균형이 있으면 양측성운동은 하면 안된다.(양측섬 힘소실증후군-Bilateral Force Deficit)
안녕하세요.
척추안정화 연구소 통합 체형 전문가 과정 (PIT) 과 기능적 움직임 패턴 과정(FST)강사이자
Bodymove운동센터 대표 마혁빈 입니다.
불균형이 있으면 양측성(Bilateral)운동은 하면 안된다.
(양측섬 힘소실증후군-Bilateral Force Deficit)
양측성 힘 소실증후군(Bilateral Force Deficity)이란 편측운동을 하는경우보다(Unilateral)
양측성으로 운동했을 때(Bilateral) 오히려 근력이나 운동수행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예를들어 회사를 다니고있는 직장인들이 프로젝트가 주어졌을때 서로 협업(Core Work)을
해서 일을 진행하면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속도도 빠르고 일의 진행이 원활히
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서로 협업하는 사람들의 개인적인 생각 가치관 업무 습관또는 일 처리방식 등의
차이로 인해 오히려 혼자했을때보다 더 많은 일의 효율성과 성과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같이 일을 하는데 업무효율성과 성과가 혼자할때보다 떨어진다??
동일한시간을 투자해서 얻는 업무효과와 이에 따르는 이득적인 부분이 줄어든다면
우리는 최상의 선택이 최대의 효율성을 낼수있는 방향으로 접근하게 될것입니다.
우리가 재활치료적인 관점에서 이와 같은 현상을 신체에 적용하면
조금 더 이해가 쉬우실거라 생각합니다.
흔하게 멀리뛰기 동작시에 달려오면서 바닥에 두다리로 점프뛰는 동작보다 한다리로
점프뛰는 동작이 더 멀리 점프를 뛰어 좋은 기록을 내는 경우를 볼수있습니다.
아니면 농구를 할 때 레이업슛을 하기 위해 러닝점프를 하는데 러닝점프시에
한발점프가 양발점프보다 더높은 점프와 슛을 쏘는 동작시에 더높고 빠르게
멀리뛰는 것을 볼수있을것입니다.
이론상으로는 양발점프는 두다리를 다쓰기 때문에 외발점프를 한것보다 점프를 2배 뛰는게
맞는데 실제로는 한발로 뛸때의 점프력에도 못미치는 경우가 일반적이죠.
1+1=2가 되어야 하는데 1+1<2가 되버리는 상황입니다.
이와 같이 한쪽운동시보다 양측성 운동을 할 때 근력이나 수행력이 감소하는 것을
양측성 운동소실(Bilateral Force Deficit)라고합니다.
이러한 현상의 간단한 예를 들자면, 운동선수가 다리 신전저항운동을(Hip Extension)시
100lbs의 양측성으로(Bilateral) 1rep max(1RM)를 가졌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각각의 하지가 할수 있는 힘의 총합을 양측성(Bilateral)운동으로 만들수 있을거라고
가정하는데 실제로는 BFD(Bilateral Force Deficit)의 발생으로, 우리는 실제로 편측적으로
운동하는 동안(Unilateral) 더 큰 힘을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신전에따른(Knee extension ) 양측성 힘소실(bilateral Deficit)에 대해
편측적인(Unilateral)운동시 1RM의 힘의 총합은 양측성(Bilateral)운동시의
합보다 큰 것을 알수있습니다.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것일까요?
허리 스쿼트의 예로, 선수가 자세, 근육 불균형, 관절 기능 장애 또는 좋지않는
기술적 능력에 문제가 있다면, 양측성으로 운동시에 전체 부하에 저항하는
신체의 균형과 안정화 능력에 제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선수는 운동을 실행하는 동안 이러한 움직임 을 조절하는 뇌와 신경계가 근육사이의
움직이는 전략에 기초합니다(관절역학Kinematics)).
만약 예를들어 양측성 스쿼트시에 한쪽무릎이 꺾여지는 신체불균형이 나오게 된다면
우리의 뇌는 무게저항시에 신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균형이 깨져있는 쪽으로
집중하게 됩니다.
근육의 활성화를 통한 관절의 안정화와 이에 따른 인접관절의 균형도를 위한
신경계가 근육을 지배하는 능력을 분산시키는것이죠.
그래서 이러한 양측성스쿼트 동작의 움직임시에 나오는 제한 요소는 신체균형과
불안정으로 양측성저항에 대한 효율적인 신체의 도전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편측으로 운동했을때(Spilit Squat)에 우리의 뇌가 관리해야 할 운동조절학 측면에서
전체 부하(Total Load)가 줄어들기 때문에 비대칭적인 환경에서의 양측성(Bilateral) 저항에
대한 신체도전보다 편측에서(Unilateral) 더 신체에 대한 외부저항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양측성 힘소실(Bilateral Force Deficit)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은
힘을 생성하는 신경학적 및 근육의 수축특성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활동성을 내기위한 근육의 결합은 중추신경계(CNS)의 더 강한 신호를 필요로
하는데 양측성동작시 발생하는 근육의 최대 근수축 과정에서는 낮은 수준의
(Low level) 신경 추진력이(Neural Drive) 동원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근육의 신경동원이 낮다는 것은 적절한 타이밍에 근육을 효율적으로 수축시키는 능력이
떨어질수있다는 것으로 이는 앞에서 얘기했던 근육불균형,비대칭적인 자세나
관절기능장애를 가진사람들에게 양측성운동시에 무게저항에 대한 신경계의
동원이 근육의 최대수축력에 집중되지못하고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직 한쪽(Unilateral)으로 집중해서 운동을 시킬 때 신경계가 근육의 동원을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만드는데 좀더 집중할수있다는 뜻이 되겠죠.
통합체형전문가 과정(PIT)과 기능적 패턴전문가과정(FST)에서 자주 언급하고 있는
기능적인움직임 회복의 관점에서는 여러분들이 운동트레이닝의 적용시 풀업(Pull up) 이나
스쿼트(Squat)동작 같은 양측성운동(Bilateral)을 할때 자세조절의 문제나 근골격계적인
통증양상이 발현이 되어진다면 양측성운동을 강조하여 계속운동을 적용하는 것보다
양측성 힘소실 증후군(Bilateral Force Deficity:BFD)라는 것을 고려하여 편측성의(Unilateral)
문제를 해결해주는데 집중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 > 운동트레이닝 관련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그레이즈운동(Leg Raise)시 허리가 아프면 어떠한 운동을 해야할까? (0) | 2023.09.05 |
---|---|
레그레이즈(Leg Raise)는 요통에 좋은 운동인가? (0) | 2023.09.04 |
고립운동과 기능적운동 비교/근거기반의 임상적용방안 (0) | 2023.08.31 |
어깨운동시 척추의 안정화가 필요한 이유 (0) | 2023.08.14 |
신경발달학적관점에서 아기들의 기본적이면서 원초적인 움직임은 우리의 일상생활통증이나 기능제한에 도움을 준다 (0) | 2023.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