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시절 당신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무엇인가?
허리통증에 관한타이거 우즈의 사례를 통한 근골격계 접근방법
타이거우즈의 재활과정의 경험론적 이야기들은 의료진들의 요통에 대한
일반적인 근본적인 믿음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결국 장애를 '고치기' 위한 '마법의 총알' 치료법을 찾는 것으로 이어진다.
비록 별개 사례이지만, 타이거우즈의 상황은 재발성문제 및 요통 장애의 메커니즘과
관리에 관한 임상의들의 공통된 진단과 관리적인 딜레마를 강조한다.
타이거 우즈는 통산 최다승 타이인 82승을 올렸는데 무릎과 허리, 아킬레스건 등에 27차례 문제가 생겼다.
AP통신과 골프 채널이 추산한 바에 따르면 여기에는 왼쪽 무릎 부상 7번과 등·허리 부상 12번,
아킬레스건 부상 3번이 포함돼 있다. 대부분 20대에 이런 부상을 입었다.
이렇게 자신의 뼈와 살을 제물로 일궈낸 상징적인 우승이 2008년 US오픈이었다.
당시 왼쪽 무릎뼈가 망가진 상태에서 연장전까지 포함해 91홀 혈투를 벌였다.
메이저 14승째를 달성하긴 했지만 곧바로 수술대에 올랐고, 마스터스에서 메이저 15승째를 달성할 때까지
무려 11년이 걸렸다.
11년만의 복귀후 우승하고 나서 TV 앵커가 타이거 우즈에게 당신이 20대 시절로 다시 돌아간다면
당신 자신에게 어떤이야기를 해주고싶은가? 라는 질문에
“더 이상 뛰지 마세요”
라는 타이거 우즈의 대답은 현시점에서의 재활치료 방향에 대해 한번더 주목할 필요가 있을것이다.
1. 타이거 우즈는 허리에 신경이 눌려서 통증이 있다." 요통 진단을 위한 영상의 역할은 무엇인가?
“Tiger has a pinched nerve in his back causing his pain” What is the role of imaging for the diagnosis of back pain?
Degeneration, disc bulges, annular tears and prolapses은 통증이 없는 인구에서 매우 흔하며,
향후 요통을 강하게 예측하지 못하며, 통증 및 장애 수준과 관련이 없다(Deyo 2002, Jarvik JG 2005).
LBP에 대한 초기 MRI 영상의 부작용은 현재 장애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의사의 개인적 판단에 의한 잘못된 진료의 위험을 강조한다(Webster BS 2010, McCullough, Johnson et al. 2012).
특정 병리학이 존재하더라도 검사, 임상 추론 및 관리 과정의 모든 관련
생체-심리-사회적 영역(Bio-Psycho-Social Model)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O’Sullivan and Lin 2014)
2"타이거 우즈는 몇 달 동안 압박된 신경에 대해 미세디스크 절제술을
받았습니다." 요통 관리를 위한 미세 디스크절제술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2.“Tiger had a micro-discectomy for a pinched nerve which had lasted for several months.” What is the role of microdiscectomy for the management of back pain?
디스크탈출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회복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크기가 감소한다.
외과적 개입에 대한 장기적인 결과는 일반적인 치료와 다르지 않다(Benson, Tavares et al. 2010).
회복되지 않은 환자들의 경우, 통증과 장애의 수준은 디스크탈출의 크기와
신경 압박 정도에 의해 예측되지 않는다.
이는 다른 통증 메커니즘이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decompressive surgery (micro-discectomy) 의 역할은 진행성 신경학적 손실(Foot drop)과
척추마미 증상과 관련된 신경근통증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대소변 장애)
통증 메커니즘은 신경 압박보다는 척수신경막 (Genevay, Finckh et al. 2008)의 염증 매개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신경학적 문제가 없는 경우 수술은 유용하지 않다.
미세절제술은 요통의 치료법이 아니다.
3"제자리를 벗어난 천골이 도수치료에 의해 다시 들어갔습니다."
요통을 치료하기 위해 도수치료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3.“My sacrum was out of place and was put back in by the physio.” What role do manual therapies play to treat back pain?
수동적 치료법은 요통의 자연적경과를 예방하거나 변화시키지 않는다. 2009).
수동적 도수치료는 단기적인 통증 완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믿음은 구조적으로 잘못된 것에 대한 통제할 수 없는 가지고 있는 두려움,
불안,을 증가시켜 통증 완화를 위한 수동적 치료법에 의존하게 된다.
명백한 '비대칭성' 및 관련 임상 징후는 뼈가 제자리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 민감해져있는
허리-골반 구조에 대한 이차적인 운동 조절 변화와 관련이 있다(Palson, Hirata et al. 2014).
반대로 천골관절의 움직임은 미세한 움직임이라는 강력한 증거가 있으며,
이는 수동적 촉진은 고사하고 최고의 영상 기법으로도 거의 측정할 수 없다
(Kibsgárd, Røise et al. 2014).
골반의 부정렬을 검사하는 방법은 신뢰도나 타당도 모두떨어지고 골반교정치료는 완벽하게
허리통증을 해결할수없고 도수치료로 100% 골반위치가 바뀌지는 않는다.
또한 체형자세에 대한 정렬이 곧 통증완화와 통증감소에 늘 동일하게 효과를 보지는 못한다.
수동적인 치료의 접근과 능동적인 환자중심의 운동적용방법과 개인관리의 중요성이 같이 동시에 적용되었을때 시너지효과를 낼수있다는것을 다시 상기시킬필요가 있다.
수동적인 치료의 한계점때문에 능동적인 운동조절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운동치료의 중요성을 현대적인 관점의 재활요소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있다.
4.다시 골프로 돌아가기 위해 제 코어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코어 안정성 훈련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4.“I need to strengthen my core to get back to golf pain again.” What is the role of core stability training?
Working the core"은 최근 몇 년 동안 활동적인 사람들의 재활에 큰 초점이 되었다.
척추를 안정시키는 근육이 요통으로 인해 억제되어 척추가
'불안정과 취약(unstable’ and ‘vulnerable’)하다는 믿음이 이를 더 강조한다.
그래서 지속적인 요통 장애는 종종 트렁크 근육의 협력적수축 감소, 횡복부 벽의 조기 활성화부족,
그리고 요추 다열근과 같은 척추 안정화 근육의 약증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 2004년,Osullivan. 2009, Gubler, Mannion et al. 2010)
천문학적 치료비용에도 불구하고 허리통증은 제어되지못했다.
코어안정화운동이 허리통증의 재발을 막는것은 불확실하고(Cochrane Data)
코어근육이 허리통증의 상관관계가 부족하다는연구결과를 언급하고있다.(Hebert 2014)
현대적인 관점의 재활에서는 코어운동만의접근방법보다는 다각도의 여러운동방법의 활용을 언급하고있다.
5.임상전문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요통과 같은 복잡한 다차원적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패러다임의 변화입니다.
5.What should clinicians do? The paradigm shift required for managing a complex multidimensional problem like back pain.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요통을 관리할 때 Tigerd woods와 같은경우 우리는 어떻게 접근하여야 할까?
임상전문가는 요통이 척추 구조가 손상되는 것이 아니라 민감도가 높다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어떤 운동선수들에게는 통증에 대한 병적인 해부학적, 생체역학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요통이 각 영역에 대한 유전적, 병리학적, 신체적, 신경생리학, 생활방식, 인지적, 심리사회적 요인(BPS Model)의 조합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의 존재와 우세는 사람마다 다르며, 이는 조직 민감화,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
고통 및 장애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O'Sullivan 2012, Rabey, Beales et al. 2014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 > 통증관련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운동시에 여러 자극을 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Homunculus) (1) | 2024.11.11 |
---|---|
만성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운동요법의 효과 (2) | 2023.12.26 |
근골격계 미신들(Musculoskeletal Myths)- ‘No pain No gain 통증이 있어야 효과가있다’ (0) | 2023.08.30 |
통증없는 삶은 어떠할까? 투쟁과 도피 (0) | 2023.08.21 |
아플때 VR(가상현실체험)을 해보자.뇌가 변한다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