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은 스트레스를 만든다(Allostasis)
안녕하세요.
척추안정화연구소 통합체형전문가과정(PIT)과 기능적움직임패턴(FST)과정 강사이자
Bodymove운동센터 대표 마혁빈입니다.
우리가 살면서 많은 신체.감정적스트레스(Stress)에 노출되는건 일상적입니다.
스트레스의 사전적의미는 "해로운 내외적 자극에 대한 생체반응"으로 정리하는데
스트레스 억제를위해 우리는 수많은 지식과 방법을 연구하고있죠.
하지만 역설적으로 일부러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신체의 문제요소를 해결하는경우도 있는데요.
바로 신체적활동(Physical Activity)입니다.
움직임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이말은 움직임과 스트레스관계가 부정적으로 보여질수있는데
우리가 길거리를 걷다가 으르렁 거리는 소리와 함께 무서운 개를 보거나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신호가 바뀌는 시간이 다가오게되면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본인도 모르게 그자리를
빨리 움직여 벗어나는 행동을 취했던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차가 위협적으로 다가오는 신호나 개의 으르렁 소리에 우리의 뇌는 통증억제에 관여하는
핵심 중추이며 뇌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고 동시에 기억력과 같은
인지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의 청반(locus coeruleus)핵을 활성화 시키게 됩니다.
몸을 돌려서 다가오는 차나 으르렁거리는 개를 볼때 뇌의 두려움과 불안의 중추인 편도체(Amygdala)는
두려움을 증폭시키게되고 이러한 자극의 입력은 대사과정과 교감신경같은 자율신경계의 활동을
관장하는 시상하부(Hypothalamus)를 통해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하게됩니다.
1.이때 척수에서 뻗어나온 교감신경은 부신속질과 연결되어있는데
교감-부신속질(sympathetic- adrenal medullary (SAM) axes 이 빠르게 작동하게됩니다.
SAM은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부신속질을 활성화 시키고 흥분과 분노상황에서 나오는
투쟁 전투호르몬인 아드레날린을 분비시킵니다.
모든시스템이 전투 태세로 전환되고 위협상황에 대처하기위한 신체의 경각심은 늘어
도망가기위한 몸의 신체 활동성과 움직임증진에 더욱더 힘을 실을수 있게되는것입니다.
2.이러한 신체 위협자극은 신체내에서 부신겉질과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상호작용하며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축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PA)이 서서히 움직이게 됩니다.
HPA가 완전히 활성화되면 시상하부와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뇌하수체에서는 스트레스호르몬인
코르티솔을 부신겉질에서 분비하도록 지시합니다.
간과 지방세포에서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되어 달려오는 차나 으르렁거리는 개의 위협에서
벗어나기위해 보다 몸이 더 빨리움직이게 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게 되는것입니다.
안전한상황에서 숨을 고르면 스트레스 시스템은 비활성화 되고 아드레날린과 코르티솔이
정상기준치로 돌아가 신체는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평온한상태가 됩니다.
이것이 스트레스반응(Stress Response)의 진짜 목적인 것이죠.
스트레스반응이 역동적으로 증감하는 일련의과정을 생체적응,
즉 알로스타시스(Allostasis)라고 부르고있습니다.
신체의 변하지않는 기준점이 있어 외부환경에 맞서 그 기준점을 유지한다는뜻인
‘항상성(homeostasis)'
보다 더 큰개념으로 인간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어
뇌가 변화된 환경에 적응해 안정되가는 과정으로 인간의 신체는 더 강하고 건강해질수있게됩니다.
힘든 운동은 분명 스트레스를 가져오지만 그 뒤에 이어지는 스트레스반응은 역경에
뇌를 대비시키고 신체를 강하게 튼튼하게 만들수있습니다.
비단 운동능력뿐아니라 인생의 고난과 역경이 다가와도 더 쉽게 극복하고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강한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만들수있게 됩니다.
하지만 신체능력을 극대화 하기위해 힘든운동사이에 휴식과진정활동이 없게되면
스트레스누적으로 알로스타틱 부하(Allostatic Load)라는 영향을 받게됩니다.
과도한 스트레스부하가 부정적인 감정과신체의 건강악화를 만드는 개념의
알로스타틱 부하(Allostatic Load)를 증가시키게 되는것이죠.
어느정도의 신체스트레스(Allostasis)는 신체에 도움이되지만 과한 스트레스(Allostatic Load)는
우리에게 독이 되는것처럼 인간은 외부적인 환경이 요구하는 양에 비해 본인의 능력이부족하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을 부정적으로 여기게됩니다.
따라서동기부여방식.신체능력증진.정서적감정을 긍정적으로 만들기 위한노력은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란 자신이 통제할수있는것에대해 액션을취하지 않은데서 온다.
-제프 베조스 아마존창업주-
'근골격계질환 공부끄적끄적 > 운동트레이닝 관련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틀벨 할로(Halo)는 신체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만든다. (1) | 2023.12.08 |
---|---|
최신 무릎 부상 예방 프로토콜 2023.Jospt.Article (0) | 2023.12.05 |
어깨운동은 샤라포바운동법으로!! (0) | 2023.09.22 |
운동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골프황제 타이거우즈의 사례) (0) | 2023.09.20 |
밸런스패드위에서 안정화운동이 효과가 많이있을까? 운동특이성이론 (1) | 2023.09.18 |